자바에서 공변성(covariance), 반공변성(contravariance) 그리고 무변성 (invariance)
글을 쓰게 된 이유
- 멘토님과 StringBuffer와 StringBuilder에 대해 소스 코드를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두 클래스 모두 AbstractStringBuilder 추상 클래스를 상속받고 있음을 확인했다.
- override하면 리턴 타입이나 파라미터 등 부모의 메소드 선언부를 그대로 동일하게 가져가야 하는 줄 알았는데 자식 클래스의 리턴 타입이 더 상세한 것이다..! 아니 리턴 타입이 달라도 돼..?
- 여기서 멘토님이
covariance(공변)
라는 키워드를 주셔서 이번 기회에 좀 더 알아보기로 한다.
공변, 반공변, 무변성?
갑자기 왜 공변이라는 키워드가 나왔을까?
위의 AbstractStringBuilder와 StringBuffer, StringBuilder는 상속관계에 있다.
그리고 이 관계의 흐름과 동일하게 자식 타입의 리턴 타입(StringBuffer, StringBuilder)이 부모 타입의 리턴 타입(AbstractStringBuilder)보다 상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계층 관계에서 타입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변성
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성에는 공변, 반공변, 무공변이 있다. (Bivariance는 여기서 다루지 않을 예정)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로 List를 들어본다.
공변 (Covariance)
클래스간 관계가 제네릭 타입의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말그대로 기존 클래스 관계를 따라 제네릭 구조도 함께(공
) 변한다(변
)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리스코프 치환 원칙 이 여기에 해당한다.
Animal a = new Tiger(); // OK
List<Animal> animalList = new ArrayList<>();
List<Tiger> tigerList = new ArrayList<>();
animalList = tigerList; // compile X
예를 들어 Tiger
가 Animal
의 하위 타입일 때 List<Tiger>
는 List<Animal>
의 하위 타입이라면 공변하다고 본다.
자바의 제네릭은 기본적으로 무공변(invariance)
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그럴 때 자바에서는 ? extends T
키워드를 사용해서 공변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ist <? extends Animal>
는 Animal 또는 Animal의 하위 타입을 요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List<? extends Animal> animalList = new ArrayList<>();
List<Tiger> tigerList = new ArrayList<>();
animalList = tigerList; // compile O
반공변 (Contravariance)
반공변은 공변과 반대로, 제네릭 타입의 구조가 클래스간 관계와 반대로 적용될 때를 의미한다.
List<Animal> animalList = new ArrayList<>();
List<Tiger> tigerList = new ArrayList<>();
tigerList = animalList; // compile X
예를 들어 Tiger
가 Animal
의 하위 타입일 때 List<Tiger>
가 List<Animal>
의 상위 타입이라면 반공변하다고 본다.
자바에서는 ? super T
키워드를 사용해서 반공변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ist<? super Tiger>
는 Tiger 또는 Tiger의 상위 타입을 요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List<Animal> animalList = new ArrayList<>();
List<? super Tiger> tigerList = new ArrayList<>();
tigerList = animalList; // compile O
무공변/불변 (Invariance)
다른 타입은 받을 수 없고 오직 해당 타입만 받는 경우를 의미한다. 자바의 제네릭이 기본적으로 이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Tiger
가 Animal
의 하위 타입일 때 List<Tiger>
와 List<Animal>
가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경우 무공변에 해당한다.
자바에서의 공변, 반공변, 무변성
4가지 시나리오
자바에서는 공변과 반공변, 무변성이 어디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을까? 다음 예시를 보자. 아래와 같은 상속 관계를 가진 클래스가 있다.
public class Animal {
}
class Carnivore extends Animal {
}
class Tiger extends Carnivore {
}
class Lion extends Carnivore {
}
이 때 변수 선언시
, 메소드 override 시
, 배열
일 때와 제네릭
일 때 각각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자.
1) 변수 선언문
자바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공변이다.
상속 관계에서 형변환(Casting)시 “서브 타입은 언제나 기반 타입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는 리스코프 치환 원칙
이 기본 매커니즘이기 때문에 아주 익숙하다.
// Tiger는 Animal이다. ( 상속은 covariant : LSP )
Animal animal = new Carnivore();
Animal animal2 = new Tiger();
Carnivore carnivore = new Tiger();
2) 메소드 재정의
자바에서 메소드 override시 리턴 타입은 공변이지만 파라미터는 무공변이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메소드를 코드로 살펴보자.
먼저 AniInterface
라는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최상위 타입인 Animal을 매개 변수로 받고, 리턴 타입으로 보내는 getAnimal()
이라는 메소드를 만들었다.
public interface AniInterface {
public Animal getAnimal( Animal animal);
}
// 1. work!
class AniInterfaceImpl implements AniInterface {
public Carnivore getAnimal( Animal animal) {
return new Carnivore();
}
}
// work...!!!!
class AniInterfaceImpl2 implements AniInterface {
public Carnivore getAnimal( Animal animal) {
return new Tiger();
}
}
// NOT work
class AniInterfaceImpl3 implements AniInterface {
public Animal getAnimal( Carnivore carnivore ) {
return new Animal();
}
}
자바는 리턴 타입으로 공변을 지원하기 때문에 재정의한 메소드에서 더 구체적인 타입을 반환할 수 있다.
- 재정의한 메소드에서 하위 타입(Carnivore) 리턴 -> OK
- 재정의한 메소드에서 리턴 타입은 하위 타입으로 정의, 실제로는 하위의 하위 타입(Tiger) 리턴 -> OK
하지만 3.은 파라미터 타입이 Animal의 하위인 Carnivore이다.
자바에서 파라미터 타입은 무공변
이기 때문에 Overload된 메소드로 여기게 된다.
즉, 재정의한 파라미터 타입
이 부모와 동일하지 않으면 다른 메소드로 인식되기 때문에 컴파일러가 부모 메소드를 구현하라고 에러를 발생한다.
3) 배열
자바에서 배열은 공변
이다. 따라서 Animal이 Carnivore의 상위 타입이기 때문에 Animal[] 역시 Carnivore[]의 상위 타입이 된다.
Animal[] animals = new Carnivore[10];
Animal[] animals2 = new Tiger[10];
Carnivore[] carnivores = new Tiger[10];
animals2[0] = new Carnivore();
배열이 공변이기 때문에 컴파일 에러없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지만,
반대로 공변이기 때문에 위의 코드는 초기화된 타입이 아닌 요소를 배열에 담을 수 있어서 잠재적으로 ArrayStoreException
이 발생할 위험을 가지고 있다.
인텔리제이에서는 IDE 수준에서 “배열에 초기화에 사용한 타입과 다른 타입의 요소를 넣으면 Exception이 발생한다”고 경고를 주고있다.
실제로 실행해보면 Tiger 타입의 객체만을 저장하기 위한 배열에 Carnivore 타입의 객체를 할당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경고했던 ArrayStoreException
이 발생한다.
이 경우 List<Animal>
과 같이 제네릭 컬렉션을 사용하면 타입의 범위를 설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파일 때에도 타입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런타임시에도 오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4) 🌟 제네릭 컬렉션
먼저, 제네릭은 기본적으로 무변성이다. 즉, 같은 타입만을 받는다.
따라서 Cage<T>
라는 클래스가 있을 때 Animal
이 Tiger
보다 상위클래스라 할지라도 Cage<Animal>
에 Cage<Tiger>
를 할당할 수는 없다.
Animal animal = new Tiger(); // OK
Cage<Animal> ca1 = new Cage<Tiger>(); // 컴파일 에러
Cage<Animal> ca2 = new Cage<Animal>(); // OK
예를 들어 육식 동물 케이지에 먹이를 주는 사육사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public class Zookeeper {
/**
* invariant type parameter
* @param cage
* @param m
*/
public void feed(Cage<Carnivore> cage, Meat m) {
System.out.println("Feeding animals in cage > invariant type parameter");
}
static class Meat {
}
}
그리고 먹이를 주는 코드를 작성한다.
Zookeeper zk = new Zookeeper();
Cage<Tiger> ct = new Cage<>();
zk.feed( ct, new Zookeeper.Meat() ); // ct에서 컴파일 에러!
feed() 메소드의 첫번째 파라미터로 Cage<Carnivore>
타입을 받고 있는데 넘겨준 타입은 관계가 없는 Cage<Tiger>
이기 때문에 feed()는 값을 받을 수 없다.
이걸 받게 하기 위해 만약 Zookeeper의 feed() 메소드 파라미터를 실제 원하는 하위타입으로 각각 만들면 어떨까?
그럼 사용하는 쪽에서는 의도한대로 컴파일 에러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공하는 쪽에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메소드 오버로딩을 기대했지만 이 경우엔 ‘both methods have same erasure’ 라는 컴파일 에러를 준다.
✨제네릭은 컴파일 시점에 타입 정보를 체크하고 런타임에는 이 정보를 제거한다.
그렇기 때문에 feed() 메소드가 런타임 시점에는 Cage<Tiger>
와 Cage<Lion>
모두 단순히 Cage
클래스로 취급되기 때문에 동일한 시그니처를 가진 메소드로 간주된다.
내가 원한 동작은 Zookeeper의 feed() 메소드에서 육식 동물에 해당하는 우리에 고기를 던져주는 행위일 뿐이다.
즉, 육식 동물 우리에 고기를 준다
== 육식 동물에 속하는 호랑이와 사자가 있는 우리에 고기를 준다
가 성립되길 원하는 것이다. => 🌟 제네릭의 무공변을 공변하게 만들고 싶다!
제네릭에서 무공변을 공변하게 만들기
일반적인 컬렉션 동작을 변경하려면, 메소드 파라미터와 같이 사용하는 위치에서 명시적으로 ? extends U
를 사용해서 제네릭을 공변으로 만든다.
? extends U
는 타입 매개변수의 범위가 U 클래스이거나, U의 자식 타입만 가능하다는 뜻이다.
/**
* covariant type parameter
* 파라미터 T가 적어도 Carnivore 를 상속한 타입임이 보장됨.
* @param cage
* @param m
*/
public void feed(Cage<? extends Carnivore> cage, Meat m){
System.out.println("Feeding animals in cage > covariant type parameter" + cage.getAllAnimals() );
}
이제 Zookeeper의 feed() 메소드는 와일드카드(?
) 와 extends
를 통해서 Carnivore 클래스와 Carnivore 클래스를 상속받는 클래스들을 모두 Cage의 제네릭 타입으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즉, cage의 타입이 아무리 높아봤자(?!) Carnivore 타입까지임을 보장받는다. ( 상한 경계 )
그럼 이제 다시 고기를 줘보자
/* 무변성 invariant 일 때 문제 -> 공변 covariant 로 해결 (Zookeeper의 feed 메소드의 파라미터에 extends 추가) */
Zookeeper zk = new Zookeeper();
Cage<Tiger> ct = new Cage<>();
ct.addAnimal( new Tiger() );
zk.feed( ct, new Zookeeper.Meat() ); // feed 메소드의 파라미터 Cage<? extends Carnivore> 타입에 Cage<Tiger> 할당 가능
Cage<Lion> cl = new Cage<>();
cl.addAnimal( new Lion() );
zk.feed( cl, new Zookeeper.Meat() ); // feed 메소드의 파라미터 Cage<? extends Carnivore> 타입에 Cage<Lion> 할당 가능
Cage<Carnivore> cc = new Cage<>();
cc.addAnimal( new Carnivore() );
zk.feed( cc, new Zookeeper.Meat() ); // feed 메소드의 파라미터 Cage<? extends Carnivore> 타입에 Cage<Carnivore> 할당 가능
컴파일 에러도 발생하지 않고 실행도 잘 된다.
feed() 메소드를 제공하는 Zookeeper 클래스 쪽에서 ? extends
로 제네릭 타입을 공변하게 받도록 처리함으로써 한 번에 자식 클래스 제네릭 타입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공변일 때 문제점 : extends 로 공변한 타입은 메소드에 값 전달이 안된다..!!
그럼 이제 육식 동물 케이지에 사자와 호랑이를 넣어보자.
// Cage<? extends Carnivore> 에 Cage<Tiger>를 할당 => 가능
Cage<Tiger> ct2 = new Cage<>();
Cage<? extends Carnivore> cage = ct2;
cage.addAnimal( new Tiger() ); // 컴파일 에러
cage.addAnimal( new Tiger() ); 에서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이는 자바 컴파일러가 ? extends Carnivore
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안전성 문제
이다.
Cage 클래스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addAnimal()의 파라미터 타입으로 T타입이 온다고 선언했는데, 사용하는 쪽(호출부)에서 ? extends Carnivore
타입을 보내고 있다.
(물론 런타임에는 정보가 소거되지만 일단 이해하기 쉽도록..!)
그럼 Cage 클래스는 인자로 Tiger
타입이 올지, Lion
타입이 올지, Carnivore
타입이 올지 알 수가 없다. → 안전하지 않으니 컴파일 에러 발생!🚨
🔧 가능한 처리법
컴파일 에러를 없애려면 어떻게 할까
1) 정확히 알 수 있게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한다.
Cage<Tiger> tigerCage = new Cage<>();
tigerCage.addAnimal( new Tiger() );
Cage<Lion> lionCage = new Cage<>();
lionCage.addAnimal( new Lion() );
이렇게 명시적으로 알려주면 컴파일러 입장에서는 어떤 값이 들어오는지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에러를 뱉지 않는다.
하지만 Tiger와 Lion 제네릭 타입을 따로 만들지 않고 한 번에 처리할 수 없을까?
2) Cage 클래스 타입 수정
public class Cage <T extends Carnivore> {
private List<T> animal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Animal( T animal ) {
animals.add( animal );
System.out.println( "Adding animal to cage > " + getAllAnimals() );
}
public List<T> getAllAnimals() {
return animals;
}
}
Cage <T extends Carnivore>
라고 클래스 선언부에 명시하여 Cage 클래스의 제네릭 타입이 Carnivore와 그 하위 타입만 받도록 설계한다.
Cage<Carnivore> carnivoreCage = new Cage<>();
carnivoreCage.addAnimal( new Tiger() );
carnivoreCage.addAnimal( new Lion() );
사용할 때 Carnivore 타입의 케이지를 생성하고 그 안에 Tiger와 Lion을 넣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3) 제네릭 메소드로 수정
public <U extends T> void addAnimal( U animal ) {
animals.add( animal );
System.out.println( "Adding animal to cage > " + getAllAnimals() );
}
addAnimal() 메소드 선언시 리턴 타입 앞에 제네릭한 타입( <U extends T>
)을 선언 하고, 그 타입을 매개 변수에서 사용한다.
Cage<Carnivore> cage = new Cage<>();
cage.addAnimal( new Tiger() ); // OK
이제 addAnimal() 호출부에서 구체적인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다.
위의 코드에서는 Cage<Carnivore> cage = new Cage<>();
를 통해 Cage 클래스의 제네릭 타입(T
)이 Carnivore 타입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addAnimal( U animal ) 에서 U 는 <U extends Carnivore>
를 만족해야 한다.
만약 U extends T
에 해당하지 않는 타입을 인자로 넣어 호출하면 다음과 같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제네릭에서 공변을 반공변하게 만들기
또 다른 해결법으로는 반공변하게 만드는 것이다.
? super U
는 타입 매개변수의 범위가 U 클래스이거나, U의 부모 타입만 가능하다는 뜻이다.
// AS-IS
public void addAnimal( T animal ) {
animals.add( animal );
System.out.println( "Adding animal to cage > " + getAllAnimals() );
}
// TO-BE
public void addAnimal( Cage<? super T> cage, T animal ) {
animals.add( animal );
System.out.println( "Adding animal to cage > " + getAllAnimals() );
}
addAnimal() 에서 Cage<? super T>
는 T 또는 T의 상위 타입을 담을 수 있는 Cage 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 super T
를 사용하는 것은 반공변성을 이용한 것이다. T 의 상위 타입을 다룰 수 있다는 말은 즉, 이 문맥 안에서 최소 T 타입은 안전하게 다룰 수 있다는 뜻이다.
addAnimal을 사용해보자
Cage<Carnivore> cCage = new Cage<>(); // -> Cage 클래스의 T 타입을 Carnivore로 지정
cCage.addAnimal( cCage, new Tiger() ); // OK.
cCage.addAnimal( cCage, new Lion() ); // OK.
cCage 인스턴스는 Carnivore 타입을 담는 Cage 객체이다.
이 때 Cage 클래스 입장에서는 addAnimal( cCage, new Tiger() ) 이 호출될 때,
- 첫번째 매개변수
Cage<? super T> cage
: 실제 인자로Cage<Carnivore>
타입이 넘어왔으니 문제가 없다. - 두번째 매개변수
T animal
: 실제 인자로 Tiger 타입과 Lion 타입이 넘어왔다. animals 는List<Carnivore>
이므로 Carnivore의 하위 타입인 Tiger와 Lion은 안전하게 들어갈 수 있다.
List<Carnivore> carnivoreList = new ArrayList<>();
carnivoreList.add( new Tiger() ); // OK
와일드카드?
를 활용한 변성
위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제네릭 타입은 기본적으로 불공변
이지만 와일드카드의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공변
또는 반공변
을 적용하도록 컴파일러에 트릭을 줄 수 있다.
경계 | 표현식 | 변성 | 설명 |
---|---|---|---|
상한 경계 | <? extends T> |
공변 적용 | 상위 클래스 제한 (T와 그 자식 타입만 가능) |
하한 경계 | <? super T> |
반공변 적용 | 하위 클래스 제한 (T와 그 조상 타입만 가능) |
와일드카드 경계에 따른 동작 제약
List 자료형으로 살펴보자
<? extends T>
- 값 조회 : T 타입으로 받아야 안전하다.
-
값 저장 : 불가
- 제네릭으로 받은 값을 꺼내는 경우
public class AnimalSample { public static void method( List<? extends Animal> animal ){ Animal animal1 = animal.get( 0 ); // 안전함 /* 안전 X */ Tiger animal2 = (Tiger)animal.get( 0 ); // Tiger의 상위 타입이 오거나 Lion 타입이 오면 런타임시 ClassCastException 발생 Lion animal3 = (Lion)animal.get( 0 ); // Lion의 상위 타입이 오거나 Tiger 타입이 오면 런타임시 ClassCastException 발생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 List<Animal> animals = new ArrayList<>( Arrays.asList( new Animal(), new Animal(), new Animal() ) ); List<Lion> lions = new ArrayList<>( Arrays.asList( new Lion(), new Lion(), new Lion() ) ); method( animals ); method( lions ); } }
- 제네릭으로 받은 값에 특정 값을 저장하는 경우
public static void setMethod( List<? extends Animal> animal ) { // 저장 X animal.add(new Animal()); // 컴파일 에러! animal.add(new Carnivore()); // 컴파일 에러! animal.add(new Tiger()); // 컴파일 에러! animal.add(new Lion()); // 컴파일 에러! // 저장 O -> null animal.add(null); // null 만 삽입 가능 }
가장 상위인
List<Animal>
타입이 온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실제로 어떤 자식 타입이 또 들어올지 컴파일러 입장에서는 모르기 때문에 그냥 불가하도록 처리한다. ➔ 인자에 값을 넣고 싶다면super
와일드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 super T>
- 값 조회 : Object 타입으로 받아야 안전하다
-
값 저장 : T와 그 자식 타입만 넣을 수 있다. 이 부분이 개인적으로 가장 헷갈렸다. 코드로 살펴보자
- 제네릭으로 받은 값을 꺼내는 경우
public class AnimalSample { public static void getMethod( List<? super Carnivore> animal ){ Object animal0 = animal.get( 0 ); // 안전함 /* 안전 X */ Animal animal1 = (Animal) animal.get( 0 ); Carnivore animal2 = (Carnivore) animal.get( 0 ); Tiger animal3 = (Tiger) animal.get( 0 ); Lion animal4 = (Lion) animal.get( 0 );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 List<Animal> animals = new ArrayList<>(); animals.add( new Animal() ); animals.add( new Carnivore() ); animals.add( new Tiger() ); getMethod( animals ); } }
getMethod() 내에서 animal의 값을 꺼낼 때 Object로 받아야 안전하다. 그 이유는 getMethod()가 파라미터로 Carnivore의 상위 타입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했기 때문에 animal은 Carnivore, Animal, Object 타입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메소드를 호출하는 곳에서 Carnivore 타입보다 더 상위 타입의 리스트를 보낸다면, getMethod() 내부에서 더 작은 타입으로 형변환을 시도할 때 ClassCastException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List<Animal>
를 인자로 호출한다면, getMethod() 내부에서 값을 Carnivore 타입으로 형변환을 할 때 ( animal2
)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어떤 상위의 값이 들어와도 안전하게 꺼낼 수 있도록 Object
타입으로 받아야 한다.
- 제네릭으로 받은 값을 저장하는 경우
public static void setMethod( List<? super Carnivore> animal ){ // 저장 -> 본인과 그 자식만 가능 animal.add( new Carnivore() ); animal.add( new Tiger() ); animal.add( new Lion() ); animal.add( new Animal() ); // 컴파일 에러! animal.add( new Object() ); // 컴파일 에러! }
만약 인자로 List<Carnivore>
타입이 넘어온다면 animal에 new Animal()
을 추가할 수 없다. Carnivore 타입의 리스트는 요소로 Animal 타입을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타입이 와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super
로 최소 타입이 보장된 Carnivore 타입이 업캐스팅 가능한 상한선이 된다.
느낀점
…
처음엔 보고 이게 뭐지…? 싶었다.
정말 계속 보고 계속 쳐보고 챗지피티 괴롭히고 난리 부르스를 치니 조금 느낌이 온다..
그래도 반공변 개념은 여전히 계속 헷갈려서 앉았을땐 알았다가 의자에서 일어서면 까먹는다.. ㅎ
마음으로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 같다.. 왜.. 왜.. 반대로 가는건데…!!
일단 제네릭 타입 수준에서 다운캐스팅을 하려는 것이다,, 라고 외우련다🫠
댓글남기기